대전시 꿈씨가족 물 만났네! 0시축제 기간 매력 대방출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4-08-06 08:25:25
  • -
  • +
  • 인쇄
꿈돌이 래핑택시 1000대로 늘리고, 도시철도 1호선 내부 꿈씨패밀리 입혀
▲ 꿈씨캐릭터 서울광장

[뉴스스텝] 대전 대표 축제ㆍ관광명소 등 대전 알리기에 여념이 없는 꿈씨 패밀리가 0시 축제 기간 대전을 찾아 준 관광객들을 위한 매력 대방출에 나선다.

먼저, 대전 0시 축제 미래존에 꿈씨 패밀리 포토존을 운영하고 0시 축제와 꿈씨 패밀리 등을 활용한 관광기획상품 굿즈를 선보인다.

굿즈 상품은 일반기업들과 함께 대전디자인진흥원, 대전공예조합, 대전관광협회, 대전관광공사 등과 상호 협력하여 준비해 온 것으로 의류ㆍ모자, 문구ㆍ잡화, 생활, 공예, F·B 상품 등이다.

이 중 우수 굿즈는 대전역 3층 ‘꿈돌이와 대전여행(대전역관광안내소)’, 꿈돌이 하우스, 대전트래블라운지, 대전시청 TJ마트에도 유통해 판로를 확보해 나갈 계획이다.

대전시와 한국철도공사가 추진중인 대전 0시축제 관광열차(와인과 관광이 결합된 이색테마 열차인 국악와인열차)는 축제 기간에 관광객을 싣고 힘차게 달릴 예정이다.

서울역을 출발해 대전역에 도착 후 대전의 명소인 대청호 명상정원, 대청호 오백리길 등을 감상한 후에, 대전시가 올해 중점적으로 추진 중인 지역 쇼핑관광 기반 조성 사업 핵심권역인 원도심(대전 중앙시장, 꿈돌이 하우스, 중부건어물시장, 대전0시축제 플리마켓 등)에서 쇼핑관광과 함께 대전 0시 축제를 즐기게 된다.

지난 4월에 전국 최초로 대전시가 카카오T블루 택시와 협업한 10대의 꿈돌이 래핑 택시는 대전 0시 축제기간 1,000대로 늘려 대전 전역을 종횡무진한다.

‘꿈돌이 택시’는 택시 측면 래핑과 표시등(갓등)을 교체하여 대전의‘택시 브랜드’를 창출하는 사업으로, 지난달 25일 한국방송신문연합회 주관, 2024년 소비자가 뽑은 올해의 도시브랜드 부문 대상을 받은 바 있다.

올 9월에는 개인택시 2,000대의 택시 표시등(갓등)에도 UFO를 타고 있는 꿈돌이 표시등을 적용하여 대전의 또 하나의 명물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도시철도 1호선 꿈씨 패밀리 테마열차도 관광객 맞이에 나선다.

꿈씨패밀리 테마열차는 대전대학교, 대전교통공사, 대전관광공사가 지난 4월부터 추진해 오고 있는 사업이다.

도시철도 1편성 중 차량 2칸(앞칸과 끝칸)의 내부를 꿈씨 패밀리로 디자인하여 시민과 방문객들에게 흥미로운 경험을 제공할 예정이다.

노기수 대전시 문화예술관광국장은 "꿈돌이 가족 캐릭터를 활용, 다양한 관광상품화, 홍보마케팅 등을 통해 도시 이미지 제고와 함께 놀러 가고 싶은 도시 만들기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남양주시, 화도·수동·호평·평내 학부모와 미래교육 소통의 장 열어

[뉴스스텝] 남양주시는 23일 화도읍 소재 한 카페에서 화도·수동·평내·호평 지역 ‘중·고등 학부모 미래교육공동체 아카데미’를 성황리에 개최했다.‘미래교육공동체 아카데미’는 권역별·학교급별로 학부모들이 한자리에 모여 교육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고 자녀 교육 경험을 나누는 등 실질적인 소통의 장을 마련하기 위해 기획됐다. 올해 네 번째로 열린 이번 아카데미에는 화도·수동·호평·평내 지역 15개 중·고등학교 학

남양주시 호평애향기동대, 호만천 마을가꾸기 행사 실시

[뉴스스텝] 남양주시는 지난 19일 호만천 일대에서 호평애향기동대가 마을가꾸기 행사를 열고 수국 500주 식재와 환경정화 활동을 펼쳤다고 23일 밝혔다.이번 행사는 마을가꾸기 공모사업에 선정돼 마련된 것으로, 주민들에게 쾌적하고 아름다운 환경을 제공하고 호만천을 시민들의 휴식 공간으로 가꾸기 위해 추진됐다.행사에는 호평애향기동대 단원 40여 명이 참여해 호만천 주변에 수국을 식재하고 쓰레기를 수거하는 등

임태희 경기도교육감, “안정적인 교원정원 확보는 대한민국 교육의 미래에 관한 문제”

[뉴스스텝] 임태희 경기도교육감이 23일 열린 ‘제4회 전국 교육정책 네트워크 교육정책 토론회’ 자리에서 “대한민국 교육의 미래를 위해서는 안정적인 교원정원 확보를 위한 노력과 탄력적이고 유연한 교원정원 제도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토론회는 경기도교육청, 충청북도교육청, 교육부, 교육정책 네트워크가 공동 주최하고 한국교육개발원이 주관해 이뤄졌다.토론회에는 임태희 교육감을 비롯해 윤건영 충청북도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