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대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 미래 융합인재 양성 비전 제시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5-09-19 08:15:14
  • -
  • +
  • 인쇄
학술 심포지엄 성료…연구 성과·인재 양성 방향 제시
▲ 학술 심포지엄 성료

[뉴스스텝] 전남대학교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이 학문적 성과와 교육 모델을 공유하며 산업과 사회로의 확장 가능성을 확인하는 학술 심포지엄을 열었다.

특히 국내외 연구 성과를 집약하고 미래 인재 양성의 방향을 제시했다는 평가가 이어지고 있다.

19일 전남대에 따르면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은 과기정통부 데이터사이언스 융합인재 양성사업, 공공데이터분석센터와 함께 작년에 이어 9월 12~13일 화순 금호리조트에서 ‘데이터사이언스 학술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번 심포지엄에는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 전임·겸임교원과 재학생, 동문, 데이터 기반 전문가 등 100여 명이 참석해 성과와 역량을 공유했다.

프로그램은 ▲재학생 논문·포스터 발표 ▲‘2025 K-DS 옥스퍼드 머신러닝 서머스쿨’ 성과 보고 ▲초청 전문가 특강으로 구성됐다.

또한 데이터사이언스+X 분야의 연구와 산학협력 프로젝트 착수 사례를 발표하며 연구 분야의 확장 가능성을 확인했다.

논문 발표 부문에서는 ▲‘표형 데이터의 삼차원 관계 학습: 듀얼 그래프 어텐션 기반 접근법’(박지은 석사과정)이 대상을, ▲‘모멘텀 전략을 위한 성능 향상 모델링: HSMM-MMoE 프레임워크’(송재민 박사과정) ▲‘Elite Ratel Optimization Algorithm for Robust Uncertainty Quantification in Nonlinear Epidemic Forecasting’(Botambu Collins 박사과정)이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포스터 발표에서는 ▲‘MT-UNet: A Multi-Task U-shaped Network for Tumor Segmentation and Classification in Grayscale Medical Images’(Tran Ngoc Ly 석사과정)이 최우수상을, 서머스쿨 성과 발표에서는 ▲강세형 석사과정이 대상을 차지했다.

아울러 졸업생이 ‘데이터사이언스 전공 후 현 직무 진출 과정’을 주제로 특강을 진행했고, 호남지방통계청 김소현 주무관이 ‘통계데이터센터 자료를 활용한 빅데이터 기반 지역 정책 연계 분석’ 사례를 발표해 관심을 모았다.

전남대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장은 “데이터사이언스는 학제 간 융합을 통해 시너지를 창출하는 학문인 만큼, 정기적인 성과 공유 행사를 통해 데이터리터러시 확산의 장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2025 성주교육지원청부설영재교육원 미래 인재 성장 이끄는 수료식 개최

[뉴스스텝] 경상북도성주교육지원청은 11월 25일 15시 30분에 성주교육지원청 대회의실에서 2025학년도 교육과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한 초등수학반, 초등융합반, 중등융합반 영재학생 32명의 수료식을 성주교육지원청 대회의실에서 개최했다. 이번 수료식은 1년 동안 지속된 영재교육 활동을 마무리하고, 학생들의 성장을 격려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성주교육지원청부설영재교육원은 지난 4월에 개강해 이달까지 매주 수요

광주시, ‘2025년 광주시 자원봉사자의 날’ 기념식 성황리 개최

[뉴스스텝] 광주시는 25일 광주시문화예술의전당에서 자원봉사자 7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2025년 광주시 자원봉사자의 날’ 기념식을 개최했다. ‘함께 걸어온 오늘, 이어갈 우리’를 주제로 열린 이번 기념식은 올 한 해 지역 곳곳에서 헌신적으로 활동한 40여 명의 자원봉사자에 대한 표창 수여로 문을 열었다. 이어 처음으로 마련된 광주시자원봉사센터의 비전·미션 선포식, 자원봉사자를 위한 특별공연, 자원봉

경기도의회 명재성 의원, “국비가 50~60%까지 지원되는데... 도비 매칭 ‘0원’”

[뉴스스텝] 경기도의회 도시환경위원회 명재성 의원(더불어민주당, 고양5)은 11월 24일 도시주택실 예산심의에서 “국비가 확보된 사업임에도 도비가 전혀 매칭되지 않아 사업이 중단될 위기에 처했다”며 강력하게 문제를 제기했다.명재성 의원은 “도의원이 된 이후 국비 매칭 사업에 도비를 반영하지 않은 사례는 처음 본다”고 말하며, 경기도의 예산 편성 기조와 현장의 실제 사업 필요성이 완전히 어긋났다고 지적했다.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