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도서관, '산책(冊): 읽어보는 예술'에 와서 지역 청년 작가들의 매력을 만나보세요

최선경 기자 / 기사승인 : 2025-10-20 08:10:07
  • -
  • +
  • 인쇄
10.28.까지 10:00~17:00 부산도서관 2층 전시실에서 홍티예술촌 지역 청년 작가 4명 초대전 진행
▲ 홍티예술촌 지역 청년 작가 4명 초대전 진행

[뉴스스텝] “홍티예술촌 소속 지역 청년 작가 4인의 독특한 색채와 매체를 자연스럽게 산책하며 경험해 보세요”

홍티예술촌은 사하구 소재의 부산 청년 작가들을 위한 창작 거점공간이다.

부산도서관은 오는 10월 28일까지 부산도서관 2층 전시실에서 지역 청년 작가 초대전 '산책(冊): 읽어보는 예술' 전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도서관은 지역 신진 작가들을 지원함과 동시에 지역 문화예술 생태계의 활력을 높이고 시민들에게 다양한 예술 향유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이번 행사를 기획했다.

청년 작가들은 자신만의 독특한 색채와 매체를 통해 개인과 사회, 내면과 외부 세계 사이를 탐구하며, 전시장은 ‘한 권의 책(冊)’처럼 이들의 세계가 엮인 공간으로 구성된다.

이번 전시는 홍티예술촌 소속 지역 청년 작가인 ▲박숙민 ▲조민지 ▲김세로 ▲노인우 4명 작가가 '현재를 살아가는 산책자'의 시선으로 세상과 감정을 탐색한 작품을 선보인다.

전시 작품은 입체 조각작품과 평면 회화 등 30여 점이다.

▲박숙민은 '기울어진 땅 위의 그린(green) 숲'을 통해 부산 재개발 지역의 불안정한 풍경을 회화로 담아냈다.

▲조민지는 '에피소드(episode)'를 통해 혼란과 자기 탐색 과정을 회화 속 캐릭터와 서사로 그려냈으며 ▲김세로는 '플러딩(flooding)'을 통해 사회와 개인 간 관계의 적절한 거리감과 소외된 존재에 대한 성찰을 제시했다.

마지막으로 ▲노인우는 '스페이스 19 시리즈(Space 19 Series)'를 통해 공간에 색의 그림자를 드리운 설치작품을 선보인다.

관람객은 네 작가의 작품을 차례로 감상하며, 각기 다른 매체와 시선이 만들어내는 복합적인 도시와 개인의 이야기를 자연스럽게 산책하듯 경험할 수 있다.

이번 전시는 도서관 휴관일인 월요일과 공휴일을 제외한 매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누구나 무료로 관람할 수 있다.

전시 관련 문의는 부산도서관 정보서비스팀으로 하면 된다.

박은아 부산도서관장은 “이번 전시를 통해 일상의 순간에 멈춰 서서, 자신만의 이야기를 발견하는 특별한 산책이 되길 기대한다”라며, “부산도서관은 앞으로도 수준 높은 기획전시를 지속적으로 선보여 시민들에게 차별화된 미학적 경험을 제공하고, 서부산권을 대표하는 복합문화공간으로 확고히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뉴스스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뉴스

서귀포시 예래동, ‘행복솔솔 장터나눔 냉장고’ 이용자 만족도 상승

[뉴스스텝] 서귀포시 예래동은 취약계층 먹거리 나눔 사업인 ‘행복 솔솔 예래동 장터나눔 냉장고’ 사업을 추진하며 지역 내 나눔문화 확산에 앞장서고 있다.올해 2월 개소 한 예래동장터나눔 냉장고는 지역주민, 기업·단체에서 후원하는 식료품, 밑반찬 등을 상시 비치해 관내 취약계층 및 복지사각지대 대상자 들에게 지원 해오고 있다.현재까지 장터나눔 냉장고 기부 건수는 9월 말 기준 총 140건·1,100만 원 상

고용노동부, 중대재해 감축 상황점검회의 개최

[뉴스스텝] 고용노동부는 20일 오후 산업안전보건본부에서 안전보건감독국장 주재로 「중대재해 감축 상황점검회의」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는 떨어짐, 부딪힘, 끼임 등의 재래형 중대재해가 지속 발생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를 효과적으로 감축하기 위해 그간의 대책 추진상황을 점검하고 독려하기 위하여 마련됐다. 이날 회의에는 48개 지방노동관서의 산재예방지도과장, 건설산재지도과장, 광역중대재해수사과장 등 산업안전 관

한정수 전북도의원, 전북자치도 현실을 반영한 자체 통계 발굴 필요

[뉴스스텝] 전북특별자치도의회 한정수 의원(익산 4)은 20일 열린 제422회 임시회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정확한 통계 없이는 정책도, 행정도 신뢰받을 수 없다”며 “전북자치도의 현실과 특성을 반영한 지역특화 통계 발굴 등 데이터 관리 체계의 혁신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전북자치도 통계시스템은 도정 주요 지표를 도민에게 투명하게 공개하고 정책 수립 및 학술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지난 2007년부

PHOTO NEWS

더보기

많이 본 기사